작가검색

작품이미지

석남 이경성 石南 李慶成Lee KyungSung

1919 ~ 2009

한국

미술평론가

작가약력

  • 1919~2009. 미술이론가·미술행정가.

작가 소개

인천 출신. 호는 석남(石南). 이학순과 진보배의 장남으로 태어나 인천 창영보통학교를 졸업하고 1936년 경성상업실천학교를 수료하였다. 1937년 일본 동경추계상업고등학교 졸업과 동시에 와세다대학(早稻田大學) 전문부 법률과에 입학하여 1941년 졸업하였다. 그러나 일본 유학시기인 1937년부터 도쿄(東京)에서 미술전시회 등을 다니며 법률공부를 포기하고 미술사와 미술이론 공부를 하기로 하였다. 와세다대학 법률과를 졸업하고 귀국하여 재판소 서기로 일하다가 1942년 12월 다시 일본으로 건너가 이듬해 와세다대학 문학부에서 미술사를 전공하였다.
1940년대 우현 고유섭과 서신으로 지도를 받았으며 1945년 10월 31일 인천시립박물관장 발령을 받았다. 1946년 4월 1일 인천시립박물관을 개관하였고, 1947년 4월 1일에는 인천시립예술관을 창설하였다. 1946년 『대중일보』에 「예술관 개관을 앞두고」와 「조선미학에 대하여」를 발표하며 이론가로서의 행보를 보여주었다. 1950년 6.25전쟁이 발발하자 박물관의 작품들을 소개(疏開)시키고, 국립중앙박물관에서 대여한 유물들을 부산으로 소개, 반환하였다.
1951년 임시수도 부산의 국립중앙박물관에서 최순우와 함께 ‘한국현대미술전’을 기획하였고, 1951년 9월 26일 『민주신보』에 「우울한 오후의 생리-전시미술전을 보고」라는 비평문을 게재하며 본격적인 미술평론가로 일하기 시작하였다.
1953년 인천시립도서관 일을 하면서 인천시립박물관을 재개관하여 박물관장직을 수행하였다. 이때 인천의 고적을 답사, 연구하였고 한미문화관의 기틀을 잡았다. 1954년 오로지 미술평론가 업무에만 집중하기 위해 인천시립박물관장직을 사임하고 서울로 올라와 홍익대학교에서 서양미술사 강의를 맡았다. 1956년부터 1961년까지 이화여자대학교 조교수 겸 박물관 참사로 근무를 하였고, 1961년 홍익대 미술대학 부교수로 부임하여 1981년까지 근무하였다.
1959년 「한국 회화의 근대적 과정」을 발표하였고, 1962년 근대미술을 정리하는 한국일보사 주최 ‘한국현대미술가유작전’을 최순우와 함께 기획하는 등 한국근대미술 연구의 초석을 놓았다.
1965년 한국미술평론가협회를 창립, 1967년에는 한국미술평론가협회 회장과 홍익대 현대미술관장직을 맡았다. 1973년 홍익대학교 대학원 미술사학과 초대과장을 맡았으며 1978년 중화민국 학술원 명예철학박사 학위를 받았다.
1981년 8월 18일 제9대 국립현대미술관장에 취임하였고 미술에서의 ‘일제 식민지 잔재의 문제’에 대한 학자적 소신을 피력하다가 당시 문화공보부 장관 이진의와의 대립으로 1983년 10월 7일에 국립현대미술관장직을 사임하였다. 다시 1986년 7월 29일 국립현대미술관 11대 관장으로 취임하여 1992년 5월 27일 사임하기까지 국립현대미술관의 운영과 교육, 연구의 기틀을 세웠다.
1983년 워커힐미술관장직을 맡아 개관하였으며, 호암미술관(현 삼성미술관 리움) 자문위원, 일본 소게츠미술관(草月美術館) 명예관장, 모란미술관 자문위원을 지내며 틈틈이 그린 그림으로 여러 차례의 개인전을 가졌으며, 저서를 발간하였다. 2009년 11월 26일 미국에서 영면하였다.
미술이론가로서 한국 근현대미술사의 초석을 세웠으며, 다수의 저서를 발간하여 이론적 체계를 세웠고 미술비평가로서 김환기, 이중섭, 박수근 등 동시대 미술인들의 작품을 자리매김했으며 전시 기획자로서, 미술관장으로서, 그리고 미술행정가로서 한국현대미술의 중심에서 활동하였다.
1972년에 대한민국 국민훈장 목련장, 1981년에 예술평론상(한국예술평론가협의회), 1984년에 대한민국 보관문화훈장, 1988년에 일본정부 훈3등 욱일중추장, 1992년에 프랑스 문화예술공로훈장 기사장, 1994년에 대한민국 세종문화상, 1995년에 일신문화상, 1999년에 자랑스러운 박물관인상, 2000년에 예술문화상 대상(예총), 2001년에 자랑스런 미술인상(미술세계), 2003년에 대한민국문화예술상(문화관광부) 등을 수여받았다.
출처/한국민족문화대백과, 한국학중앙연구원

작가의 경매 작품

제44회 I Contact 온라인경매

제 49회 장터경매

제 46회 장터경매

제19회 I Contact 온라인경매

제7회 I Contact 온라인경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