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가검색

작품이미지

초산 박병수 蕉山 朴秉洙Park ByeongSu

1858 ~ ?

조선

낙화

작가약력

작가 소개

일제강점기는 낙화의 전성기다. 그 시작은 박창규의 손자 박병수朴秉洙(1858~?)에 의해 이루어졌는데, 전라북도 진안에 살던 그가 진안현감인 김승집金升集(1826~?)의 눈에 든 일에서 비롯되었다. 그는 김승집의 동생이자 초대 총리대신을 지낸 김홍집金弘集(1842~1896)에게 소개되었고, 김홍집에 의해 일본에 알려지게 되었다. 또한, 1918년에는 당시 백작이었던 이완용李完用(1858~1926)의 권유로 경성(서울)에 올라와 젊은이들에게 낙화를 가르쳤다. 이 일은 ‘매일신보’에서 자세히 전할 정도로 유명했다. 박병수는 연이어 친일파 관리들과 인연을 맺었고, 그들의 후원 덕분에 그는 물론 낙화도 전성기로 접어들게 된다.
매일신보 1918년 5월 19일 기사에는 낙화에 대해 상세한 내용을 다뤘다. 그 기사 가운데 눈길을 끄는 대목은, 대나무가 아니라 종이에 그리는 낙화기술은 중국이나 서양에서 들어온 것이 아니라 박창규가 스스로 연구하여 터득한 것이라고 본 점이다. 나무나 대를 인두로 지지는 기술을 비교적 쉽지만, 종이에다 종이가 상하지 않게 그림을 그린 것은 ‘특별한 묘득妙得’이 없으면 하지 못하는 기술로, 조선에서 다른 나라에 자랑할 만한 것이라 했다. 이 가사의 소제목을 “조선에서 발명되어 조선에서 발달한 것”이라고 달았는데, 이러한 인식이 일제강점기 때 널리 퍼졌다. 당시 구미 각국으로부터 낙화의 주문이 온다고 했으니, ‘낙화의 세계화’의 시동을 건 시기가 일제강점기인 셈이다.
실제로 일본에 박병수의 낙화가 몇 점 전한다. 카타야마 마리코片山真理子 선생의 조사에 의하면, 하치노헤시미술관八戶市美術館에 낙화산수도 1폭과 교토 고려미술관에 낙화화조도 1점이 있다. 당시의 인기로 보아 더 많은 작품이 남아있을 것으로 짐작된다.​ 박병수는 박창규가 정립한 남종화풍의 낙화기법을 근본으로 삼았는데, 전성기에 느끼는 기쁨을 감추기에는 이미 신바람이 넘쳐난다. 조선민화박물관 소장된 는 활기차면서도 절묘한 구성에서 안정된 감각까지 느껴진다.
출처/월간민화

작가의 경매 작품

제57회 여름경매

제22회 I Contact 온라인경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