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가검색

작품이미지

죽음 조희일 竹陰 趙希逸Cho HuiIl

1575 ~ 1638

조선

작가약력

  • 1575년(선조 8) ~ 1638년(인조 16). 조선 중기의 예조, 형조참판, 승문원제조, 경상감사 등을 역임한 문신.

작가 소개

본관은 임천(林川). 자는 이숙(怡叔), 호는 죽음(竹陰) 또는 팔봉(八峰). 승문원판교 조익(趙翊)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병조좌랑 조응공(趙應恭)이고, 아버지는 승지 조원(趙瑗)이다. 어머니는 병조판서 이준민(李俊民)의 딸이다. 부사 희진(希進)은 아우가 된다.
1601년(선조 34) 진사시에 장원으로 뽑혔는데 선조가 그 시권(試券)을 보고 칭찬을 아끼지 않았다. 후일 그의 아들 석형(錫馨)도 진사시에 장원을 하여 아버지에 이어 3대가 진사 장원의 가통을 세웠다. 이듬해 별시문과에 병과로 급제하고, 다시 1608년(광해군 즉위년) 문과중시에서 을과로 급제하였다.
승문원저작에 제수되고, 이어 승정원주서가 되었다. 명나라 사신 주지번(朱之蕃)이 왔을 때 예조좌랑으로 빈사(儐使) 유근(柳根)을 따라 영접했는데, 그의 시문을 보고 모두 감탄했다 한다. 그 뒤 시강원설서·사간원정언을 거쳐 광해군 즉위 후 시강원사서·문학이 되었고, 옥당(玉堂)에 선출되었다.
이어 이조정랑이 되었으나 간당(奸黨)에 휩쓸리지 않았다. 그러나 1613년허균(許筠)의 옥사에 연루되어 이산(理山: 지금의 평안북도 초산)에 안치되었다가 1619년허균이 복주된 다음 방면되었다. 인조반정 후 홍문관교리·부응교에 제수되어 경연관을 겸했고, 정묘호란이 일어나자 왕을 강화로 호종하였다.
광주목사(光州牧使), 예조·형조의 참판, 승문원제조, 경상감사 등을 역임했으며, 접반사(接伴使)가 되어 모문룡(毛文龍)을 맞기도 하였다. 일찍이 경연에 나가 임금과 대했을 때 인조가 붕당을 타파할 뜻을 비쳤는데, 이 때 그가 불가능한 일이라고 대답하였다. 이에 인조는 불끈 화를 내며 그 까닭을 물었다.
이에 그는 구양수(歐陽脩)의 고사를 들어 군자가 있는 곳에는 반드시 소인의 무리가 있게 마련인데 그것을 판단하고 가릴 수 있는 것이 중요한 일이라고 대답하였다.
또한, 삼사(三司)에 출입하면서 상주하는 데 소신을 다하여 거리낌이 없었다. 이로 말미암아 많은 적을 만들기도 하였다. 시문이 뛰어나고, 서화에도 능하여 명성이 높았다. 저서로 『죽음집』·『경사질의(經史質疑)』 10여 책이 있다.
출처/한국민족문화대백과, 한국학중앙연구원

작가의 경매 작품

제 39회 장터경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