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가검색

작품이미지

강우 김이재 江右 金履載Kim YiJae

1767 ~ 1847

조선

작가약력

  • 1767(영조 43)∼1847(헌종 13). 조선 후기의 문신.

작가 소개

본관은 안동(安東). 자는 공후(公厚), 호는 강우(江右). 할아버지는 대사간 김시찬(金時粲)이고, 아버지는 김방행(金方行)이며, 어머니는 심황(沈鐄)의 딸이다. 형이 우의정 김이교(金履喬)이다.
1789년(정조 13) 진사가 되고, 1790년 증광 문과에 병과로 급제, 초계문신(抄啓文臣)에 발탁되고, 검열(檢閱)·지평(持平)을 거쳤다. 1799년 수찬(修撰)으로 있을 때 시파(時派)로서 벽파(僻派) 죄인이던 정처(鄭妻)의 석방 명령을 거두어줄 것을 네 번이나 상계(上啓: 왕에게 일정한 형식을 갖춘 글을 올림)하였다.
이듬해 이조판서 이만수(李晩秀)의 사직 상소가 마땅치 않다는 소를 올려 언양현(彦陽縣)에 유배되었다가 다시 고금도(古今島)에 안치되었다. 1805년에 풀려나 대사간·이조참의·경상도관찰사·대사성·이조참판을 역임하였다.
개성부유수로 있을 때 풍덕부(豊德府)를 개성에 통합시켜 땅의 경계를 확장, 정비하고 『중경지(中京誌)』를 편찬하였다. 이어 행호군(行護軍)·대사헌·공조판서·형조판서·한성부판윤·좌참찬·예조판서·이조판서까지 이른 뒤 기로소(耆老所)에 들어갔다.
그 뒤에도 계속 좌부빈객(左副賓客)·대사헌·형조판서·예조판서를 역임하였다. 1839년(헌종 5)에 시파와 벽파간의 논쟁으로 경기도 변방에 유배되었다가 풀려나와 다시 상호군·공조판서·이조판서를 지냈다.
당시 시파로 역량 있는 중신이었으나, 시파와 벽파간의 싸움으로 벼슬길이 평탄하지 못했다. 판서로 있을 때 『경국대전(經國大典)』을 비롯한 법전에 실린 금고조(禁錮條)를 산개(刪改: 쓸데없는 문장이나 글을 없애거나 고침), 이혁(釐革: 바로잡아 새롭게 함)해 백성의 신원안(伸寃案)을 쉽게 해결할 수 있는 길을 열어주었다. 편서로는 『중경지(中京誌)』가 있다. 시호는 문간(文簡)이다.
출처/한국민족문화대백과, 한국학중앙연구원

작가의 경매 작품

제21회 I Contact 온라인경매

제11회 I Contact 온라인경매